1장. DB 기본
[SQL] 1장. DB 기본
1. 데이터 데이터: 현실에 존재하는 사실들을 숫자/문자로 표현한 것 Ex) 이름: 김땡땡 사는 곳: 서울시 2. 파일 시스템 파일 시스템: 데이터를 파일로 관리하기 위해 파일을 생성, 삭제, 수정, 검색
bonjenny.tistory.com
2장. 주요 키워드
[SQL] 2장. 주요 키워드
1. 주요 키워드 - 데이터: 각 항목에 저장되는 값 - 개체(entity): 실체, 객체, 엔티티로 명명함. 즉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"집합" ex) 학생이라는 엔티티는 학버, 이
bonjenny.tistory.com
3장. 자료형
[SQL] 3장. 자료형
자료형 자료형: 해당 컬럼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유형 1) 숫자형-정수형 TINYINT, SMALLINT, MEDIUMINT, INT, BIGINT 등 2) 실수형 DECIMAL, NUMERIC, FLOAT 등 float(p, s) double(p, s) 위와 같이 사용한다. p: precision(정밀도
bonjenny.tistory.com
4장. 기본키, 외래키, 제약 조건 (MSSQL)
[SQL] 4장. 기본키, 외래키, 제약 조건 (MSSQL)
1. NOT NULL 컬럼에 NULL 금지 CREATE TABLE ACCOUNT_TABL ( ID varchar(10) NOT NULL ) CREATE TABLE ACCOUNT_TABL ( ID varchar(10) PRIMARY KEY -- NOT NULL 안 써줘도 자동으로 NOT NULL ) 2. CHECK 제약 조건 지정 값 외에 다른 값 들어오
bonjenny.tistory.com
5장. 단축키
[SQL] 5장. 단축키
MS SQL Server 단축키 -- F5 or Ctrl+E: 실행 -- Ctrl + K + C: 주석 -- Ctrl + K + U: 주석 제거 -- Ctrl + Shift + U: 대문자로 변경 -- Ctrl + Shift + L: 소문자로 변경 -- TAB: 공백 추가 -- Shift + TAB: 공백 제거 -- 사용 DB는 use
bonjenny.tistory.com
6장. DDL(DROP, ALTER)
[SQL] 6장. DDL(DROP, ALTER)
1. DROP DROP DB명칭; -- DB 제거 DROP TABLE명칭; -- TABLE 제거 DROP 시 자식 테이블 먼저, 부모 테이블 나중에 삭제 (참조제약때문) CREATE 시 부모 테이블 먼저, 자식 테이블 나중에 생성 (참조제약때문) DROP T
bonjenny.tistory.com
7장. DML(SELECT), 조건 연산자, 논리 연산자
[SQL] 7장. DML(SELECT), 조건 연산자, 논리 연산자
1. SELECT 용도: TABLE 데이터 조회 SELECT * FROM EMPLOYEE_EJH; -- 모든 필드의 모든 데이터 조회 SELECT * -- 필드 선택 FROM EMPLOYEE_EJH -- 조회테이블 WHERE EMP_NM IS NULL; -- 레코드 조건 (WHERE 절은 생략 가능) SELECT TE
bonjenny.tistory.com
8장. DML(INSERT), 발생하는 오류
[SQL] 8장. DML(INSERT), 발생하는 오류
2. INSERT 용도: TABLE 데이터 삽입 INSERT INTO ORDER_EJH VALUES('202210011309120002','00002', 'A0000002', GETDATE()); INSERT INTO ORDER_EJH VALUES('202210011309120003','00004', 'A0000002', CAST('2021-11-26 13:37:29.793' AS DATETIME)); -- 바로 위
bonjenny.tistory.com
9장. DML(UPDATE), 발생하는 오류
[SQL] 9장. DML(UPDATE), 발생하는 오류
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 "당부의 말": 절대 UPDATE문을 먼저 쓰지 말고, SELECT문으로 확인한 후 UPDATE하세요 3. UPDATE 용도: TABLE 데이터 변경 잘못 UPDATE하거나 DELETE하면 테이블을
bonjenny.tistory.com
10장. DML(DELETE)
[SQL] 10장. DML(DELETE)
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 "당부의 말": 절대 DELETE문을 먼저 쓰지 말고, SELECT문으로 확인한 후 DELETE하세요 4. DELETE 용도: TABLE 데이터 삭제 (행 단위 삭제) 잘못 DELETE하면 테이블
bonjenny.tistory.com
11장. DML(SELECT) 활용 - 집계 함수
[SQL] 11장. DML(SELECT) 활용 - 집계 함수
1. UNION, UNION ALL 합하다, 합치다, 합집합 UNION: 병합 시 중복 제거 O UNION ALL: 병합 시 중복 제거 X SELECT 이름, 수업명 FROM 포켓몬_EJH UNION SELECT 이름, 수업명 FROM 포켓몬_EJH2; 2. GROUP BY 용도: 데이터 그룹
bonjenny.tistory.com
'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ostgre SQL] select 결과 없을 때 (select return 0 rows 0 total rows) (0) | 2023.10.04 |
---|---|
[PostgreSQL] DUAL 테이블이란? (0) | 2023.10.04 |
[SQL] 트리거 설정, 문자+숫자(ABC0001)로 아이디 주기 (0) | 2023.04.28 |
[SQL] 11장. DML(SELECT) 활용 - 집계 함수 (0) | 2023.04.27 |
[SQL] 10장. DML(DELETE) (0) | 2023.04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