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QL 썸네일형 리스트형 [Postgre SQL] 쿼리 성능 분석하기 https://seunghyunson.tistory.com/20 쿼리 성능 분석하기 (PostgreSQL)1. Query Processing Pipeline Query Processing Pipeline이란 우리가 작성한 SQL 쿼리문을 실행한 뒤 결과를 볼 때까지 Postgres 내부에서 거치는 과정들입니다. 쿼리 성능을 분석하기 전에 내부 동작 과정을 간단seunghyunson.tistory.com1. Query Processing Pipeline Query Processing Pipeline이란 우리가 작성한 SQL 쿼리문을 실행한 뒤 결과를 볼 때까지 Postgres 내부에서 거치는 과정들입니다. 쿼리 성능을 분석하기 전에 내부 동작 과정을 간단하게라도 파악하고 넘어가면 분석 단계에서 더 많은 도.. 더보기 [Postgre SQL] select 결과 없을 때 (select return 0 rows 0 total rows) https://enterone.tistory.com/337 select return (0 row 0 total rows) null 결과 출력처리방법쿼리에서 조건을 걸어 데이터가 return 0 row일때 쿼리에서 "값이 없다" 라는 결과를 리턴값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해보려한다. 1. 테이블 생성하기 CREATE TABLE `CODE_TABLE` ( `CODE_CD` VARCHAR(10) NOT NULL Centerone.tistory.com쿼리에서 조건을 걸어 데이터가 return 0 row일때쿼리에서 "값이 없다" 라는 결과를 리턴값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해보려한다. 1. 테이블 생성하기CREATE TABLE `CODE_TABLE` ( `CODE_CD` VARCHAR(10) NOT NULL .. 더보기 [PostgreSQL] DUAL 테이블이란? https://goodahn.tistory.com/54 PostgreSQL에서 DUAL 테이블 사용하기DUAL 테이블이란 Oracle database에는 테이블의 생성 없이 함수 혹은 계산식을 임시로 테스트 할 수 있도록 일종의 더미 테이블인 "DUAL" 테이블을 제공합니다. 예를 들어, || 연산자를 테스트 하기 위해goodahn.tistory.comDUAL 테이블이란Oracle database에는 테이블의 생성 없이 함수 혹은 계산식을 임시로 테스트 할 수 있도록 일종의 더미 테이블인 "DUAL" 테이블을 제공합니다.예를 들어, || 연산자를 테스트 하기 위해서 SELECT 쿼리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테이블을 생성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.https://livesql.oracle.com/ 에서 테스트 결.. 더보기 [SQL] DB 정리 파일 모음 1장. DB 기본 [SQL] 1장. DB 기본 1. 데이터 데이터: 현실에 존재하는 사실들을 숫자/문자로 표현한 것 Ex) 이름: 김땡땡 사는 곳: 서울시 2. 파일 시스템 파일 시스템: 데이터를 파일로 관리하기 위해 파일을 생성, 삭제, 수정, 검색 bonjenny.tistory.com 2장. 주요 키워드 [SQL] 2장. 주요 키워드 1. 주요 키워드 - 데이터: 각 항목에 저장되는 값 - 개체(entity): 실체, 객체, 엔티티로 명명함. 즉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"집합" ex) 학생이라는 엔티티는 학버, 이 bonjenny.tistory.com 3장. 자료형 [SQL] 3장. 자료형 자료형 자료형: 해당 컬럼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유형 1) 숫자형-정수형 TINYI.. 더보기 [SQL] 트리거 설정, 문자+숫자(ABC0001)로 아이디 주기 1. SQL 트리거 트리거(Trigger):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테이블에 INSERT, DELETE, UPDATE 같은 DML문이 수행되었을 때,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작성된 프로그램. 전체 트랜잭션 작업에 대해 발생되는 트리거와, 각 행에 대해 발생되는 트리거가 있습니다. [SQLD] 제2장 트리거(Trigger)란? 1. 트리거(Trigger)란? 트리거(Trigger)란 영어로 방아쇠라는 뜻인데, 방아쇠를 당기면 그로 인해 총기 내부에서 알아서 일련의 작업을 실행하고 총알이 날아갑니다. 이처럼 데이터베이스에서도 트리 limkydev.tistory.com 2. 트리거 생성 및 설정 방법 DELIMITER $$ CREATE TRIGGER [트리거명] BEFORE INSERT ON [테이.. 더보기 [SQL] 11장. DML(SELECT) 활용 - 집계 함수 1. UNION, UNION ALL 합하다, 합치다, 합집합 UNION: 병합 시 중복 제거 O UNION ALL: 병합 시 중복 제거 X SELECT 이름, 수업명 FROM 포켓몬_EJH UNION SELECT 이름, 수업명 FROM 포켓몬_EJH2; 2. GROUP BY 용도: 데이터 그룹화하여 결과를 조회하고자 할 때 사용 SELECT 컬럼1, 컬럼2 FROM 테이블 WHERE 조건 GROUP BY (컬럼1, 컬럼2); SELECT DISTINCT(성적) FROM 포켓몬_EJH; 3. 그룹 함수 - 집계 -- SUM 그룹의 누적 합계 -- AVG 그룹의 평균 -- COUNT 그룹의 총 개수 -- MAX 그룹의 최대값 -- MIN 그룹의 최소값 1) SUM - 별칭 SELECT SUM(성적) 집계성적.. 더보기 [SQL] 10장. DML(DELETE) 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 "당부의 말": 절대 DELETE문을 먼저 쓰지 말고, SELECT문으로 확인한 후 DELETE하세요 4. DELETE 용도: TABLE 데이터 삭제 (행 단위 삭제) 잘못 DELETE하면 테이블을 새로 만들어야 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. 항상 DELETE 전 SELECT 구문으로 바뀔 레코드를 미리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자. DELETE-- DELETE는 필드명 쓰지 않음 (레코드단위로 제거하기 때문) FROM 테이블명 WHERE 삭제할 조건 DROP과 DELETE의 차이는 뭘까? 1. DROP은 DDL언어이다. 2. DELETE는 DML언어이다. 더보기 [SQL] 9장. DML(UPDATE), 발생하는 오류 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★ "당부의 말": 절대 UPDATE문을 먼저 쓰지 말고, SELECT문으로 확인한 후 UPDATE하세요 3. UPDATE 용도: TABLE 데이터 변경 잘못 UPDATE하거나 DELETE하면 테이블을 새로 만들어야 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. 항상 UPDATE 전 SELECT 구문으로 바뀔 레코드를 미리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자. UPDATE 테이블명 SET 변경컬럼1 = 값, 변경컬럼2 = 값2 WHERE 변경대상조건 (중요) -- 고객정보테이블(CUSTOMER_EJH)에서 -- 고객번호(EMPNO)가 홍길동 고객번호(00001)인 -- 핸드폰번호(TEL)를 '01012345678'에서 '01000000000'으로 변경하는 쿼리 UPDATE CUSTOMER_EJH S.. 더보기 이전 1 2 다음